SSP는 우카가카(혹은 나니카)용 캐릭터 데이터(통칭 고스트)를 실행할 수 있는 호환 본체 프로그램(베이스웨어)입니다.
우카가카는 일종의 데스크탑 악세서리로서, 주로 데스크탑 화면에 캐릭터들이 나타나 이야기를 주고 받는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설명]
우카가카를 쓰고 계신다면 이왕이면 최신 버전인 SSP를 사용해 봅시다.
- SSP 본체를 다운받고 설치한다.
http://ssp.shillest.net/ - SSP 본체 배포처입니다.SSP 처음 사용자는 윗쪽의 큰 다운로드 버튼을 눌러 완전 설치판을 받습니다.이미지1-다운로드 위치
이미 사용하고 있는 분은 아랫쪽의 업데이트 패치 패키지를 받습니다.
받은 파일을 실행하면 압축을 풀 곳을 지정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C:\ssp\ 와 같이 사용할 경로를 지정해 주고 OK를 눌러주면 압축이 풀립니다.압축이 다 풀리고 나면 압축이 풀린 폴더가 열립니다.이미지2-설치 경로 지정
- SSP 한글 언어팩을 설치합니다.
한글 언어팩 또한 SSP 배포 페이지에서 받으실 수 있습니다.
받은 파일들을 위에서 ssp를 설치한 경로(여기서는 c:\ssp\)에 압축을 풉니다. 겹쳐쓰는 파일이 하나 나올텐데 무시하고 그냥 덮어씁니다. - SSP를 실행한다.
SSP를 실행하면 기본 고스트인 에밀리가 나타납니다. 일어를 모르시는 분들은 그냥 쭈욱 넘겨주면 한글로 된 설정창이 뜹니다. 밑 부분에 자기 이름 등을 적어주고 닫습니다.SSP의 설치는 이걸로 끝입니다. 참 쉽죠?이미지3-설정창
- SSP에 원래 쓰던 고스트들을 등록한다.
새로 SSP를 설치했다고 고스트를 처음부터 새로 설치하는건 좀 귀찮습니다. 다행히 SSP에는 사용할 고스트 폴더를 복수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습니다.
이를 이용하여 기존에 이용하던 Materia 등의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이동시키지 않고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먼저 설정을 열어 왼쪽 메뉴에서 폴더, 오른쪽 화면에서 고스트 항목의 편집 버튼을 누릅니다.이미지4-설정->폴더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아직 다른 폴더를 등록하지 않았기 때문에 SSP가 설치된 폴더의 고스트 폴더 하나만이 나탑니다. 왼쪽 하단의 추가 버튼을 누릅니다.이미지5-고스트 폴더 설정
그럼 다음과 같은 폴더 선택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자신의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다른 고스트 폴더를 선택한 후 확인 버튼을 누릅니다.이미지6-
그 후, 다른 창들도 확인 버튼을 눌러 닫고 나면 다음과 같이 메뉴의 고스트 항목에서 선택 폴더가 추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이미지7-복수 폴더가 적용된 모습
만약 위의 방법으로 등록할 수 없거나 등록하기 힘든 상황이라면 원래 쓰던 Materia나 Crow 등에서 고스트 파일을 전부 복사하여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c:\nanika\ghost\ 아래에 고스트 폴더들이 있다면 c:\nanika\ghost\을 복사하기 합니다. 그 후 c:\ssp\에 그대로 붙여넣기 합니다.그럼 SSP에서도 원래 쓰던 고스트들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이미지8-복사하기 장면
- SSP에서 한글이 제대로 안나오는 고스트를 고쳐보자.
그런데 SSP에서 한글 고스트들을 돌리다 보면 한글이 이상하게 나올 때가 있습니다.이럴 경우 대부분 한글 조사처리 마코토가 구버전이라(UTF-8 처리가 제대로 안되는) 생기는 문제입니다.이미지9-깨지는 한글
한글 조사처리 마코토를 최신버전(2.3, makoto.dll 파일의 용량 : 41,472 Byte)으로 바꿔주면 해결됩니다.
SSP에서 제대로 출력되는 다른 한글 고스트들의 폴더에서 복사해서 덮어쓰던지 아래의 다운로드 링크에서 받으신 후 DLL 파일만 덮어쓰면 됩니다. - SSP에서 일본어가 깨져서 나오는 고스트명을 제대로 나오게 해 보자.
SSP에서 일본어 고스트를 설치하면 고스트 리스트에서 일본어가 제대로 나오는 경우도 있지만 깨져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사용하는데에는 별 문제가 없지만 거슬린다고 생각되는 분들은 약간 고쳐주면 제대로 나옵니다.이미지10-깨져서 나오는 고스트 리스트
일단 고칠 고스트의 ghost\master 폴더로 가서 descript.txt 파일을 엽니다. 파일을 열 때에는 메모장이 아닌 에디터 플러스나 아크로 에디터 등, 일본어를 제대로 지원할 수 있는 에디터를 사용합시다. (여기서는 에디터 플러스를 예로 들겠습니다.)
파일을 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예를 누르면 인코딩 선택 창이 뜹니다. 여기서 ... 버튼을 누릅니다.이미지11-인코딩체크
인코딩 구성 창이 뜹니다. 오른쪽의 시스템 코드 페이지에서 'Japanese (Shift-JIS) 932'을 고른 후 <- 버튼을 눌러서 왼쪽으로 옮겨 줍니다. 그 다음에는 확인을 누릅니다.이미지12-인코딩 선택
다시 나타난 인코딩 선택 창에서 추가된 'Japanese (Shift-JIS) 932'을 선택한 후 확인을 누르면 일본어가 깨지지 않고(몇몇 깨지는 부분은 있지만 저장은 제대로 되는 상태) 나타납니다.이미지13-인코딩 구성
여기서 맨 윗부분에 charset,Shift_JIS 을 추가합니다.편집 화면이 나타나면 일본어가 제대로 나올 것입니다. (일부 한자 등 제외)이미지14-인코딩 선택2
내용 중에서 charset,Shift_JIS 이라는 부분이 없으면 맨 첫줄에 추가시켜주고, 존재한다면 해당 줄을 잘라내기 해서 맨 첫줄로 옮겨줍니다.
그 후, 저장하기를 눌러주면 끝. SSP를 다시 실행해 보면 제대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SP에서 일본어가 깨져서 나오는 고스트를 제대로 나오게 해 보자.
위에서 설명한 것과는 다르게 일본 고스트를 켜면 대화 자체가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때에는 문자 코드를 설정해 줍니다.
오른쪽 클릭 메뉴->설정->문자 코드 설정 를 고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뜹니다.여기서 SHIORI 부분을 'Japanese(ShiftJIS)'으로 바꿔줍니다. 그럼 깨지던 글자들이 바로 제대로 된 일본어로 나타납니다.이미지15-문자 코드 설정
만약 그래도 깨져서 나오는 부분이 있다면 SHIORI 말고도 다른 부분들을 'Japanese(ShiftJIS)'으로 바꿔봅시다.
단, 특수한 고스트(스크립트가 DLL로 되어 있는 Materia의 First-통칭 우사다 사쿠라-) 같은 경우에는 제대로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 외에 제대로 안 되는 '옛날' 고스트가 있으면?
잘 된다는 보장은 없지만 오른쪽 클릭 메뉴->설정->예전 사양 서포트 옵션을 한번 켜 봅시다. 일단 돌아는 갈지도 모릅니다.(완벽하게는 돌아가지 않을지 몰라도)
- 그 외에 제대로 안 되는 '옛날' 고스트가 있으면?

다운로드 링크1 - 한글조사마코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