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카가카(의 MATERIA)의 기본 고스트인 사쿠라&우뉴. 니세 하루나의 패러디인 이 모습은 초기 기동시 단 한번만 나타난다. (그 외 본가 메인 페이지의 그림에 랜덤으로 보여짐)
우카가카
우카가카(伺か)는 데스크탑 상주형 어플리케이션이자 데스크탑 마스코트 소프트웨어이다. 우카가카라고 칭할 경우에는 어플리케이션보다는 커뮤니티를 가리키며, 본가의 베이스웨어(본체 어플리케이션)은 마테리아(MATERIA)로 불리는 경향이 있다. 또한 우카가카를 니세 하루나(偽春菜), 임의(任意), 나니카(何か) 등의 예전 명칭으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
사용자가 우카가카를 실행하면 보통 2인 1조의 캐릭터들이 화면에 나타나 가끔씩 이야기를 나누는 등의 행동을 한다. 캐릭터 데이터는 소프트웨어와는 독립되어 있으며, 따라서 사용자가 작성한 캐릭터 데이터인 Ghost가 다수 배포되어 있다.
기능
주된 기능으로는 PC 메모리를 쓸데없이 점유하기, CPU 점유율을 쓸데없이 소비하기, 메인 캐릭터인 사쿠라와 서브캐릭터인 우뉴가 서로 독기 가득한 만담을 나누는 것을 구경하기 등이다.
부차적인 기능으로 NTP 클라이언트, POP3 프로토콜로 새로 온 메일 확인, ToDo 리스트 관리, 윈도즈 9x계열에서 사용할 수 있는 메모리 클리닝, 온라인 업데이트, SSTP를 사용한 통신 등이 있다.
다채로운 Ghost(캐릭터)가 존재하며, 예쁜 그림과 특정 장르에 특화된 이야기, 모에 캐릭터 감상 등의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우카가카 역사
개발의 발단
쿠로이 사바토(黒衣鯖人, 닉네임)는 1998년 10월에 공개된 페르소나웨어(현재 이름 : Chararina)를 며칠 간 사용한 후, 페르소나웨어의 컨셉인 가상 인격 에이전트를 사용한 휴먼 머신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에 대해 감탄했지만 동시에 페르소나웨어의 실제 구현에는 불만을 느꼈다. 그것을 계기로 쿠로이 사바토는 완전한 백지 상태에서 비슷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기로 결의한다. 이에 페르소나웨어에 대한 야유를 담아 「가짜 페르소나웨어 with “니세 하루나”」로 이름짓고 2000년 5월 25일에 공개했다.
가짜 페르소나웨어, 그것 이외의 무언가
페르소나웨어와 가짜 페르소나웨어의 가장 큰 차이점은 페르소나웨어의 캐릭터(페르소나/가상인격)가 기본적으로 하나만 존재하는(본체 소프트웨어에는 「하루나」가 포함)것에 비해, 가짜 페르소나웨어는 「니세(가짜) 하루나」와 「우뉴」(캐릭터 디자인 : Saxyun) 두 명으로 구성되어 함께 회화하는 형태로 동작하는 점이었다. 니세 하루나는 이름은 물론, 외모도 하루나와 닮아 있으며(옷의 형태나 헤어스타일이 유사), 클릭했을 때에 표시되는 메뉴의 구조 또한 하루나를 패러디했으며, 하루나의 대사와 비슷한 느낌의 대사도 있는 등 전체적으로 「페르소나웨어 with 하루나」의 패러디 형태로 만들어져 있었다.

초기 '니세페르소나웨어' ~ '저것 이외의 무언가' 무렵의 기본 고스트였던 니세 하루나와 우뉴의 쉘. (고스트 자체는 현재 한국에서 배포되고 있는 Nisesakura Rebirth2)
같은 해 12월에 츠바사 시스템이 「페르소나웨어」를 상표 등록을 하기 위해 출원 중이라는 사실이 알려진 것과 소프트웨어가 충분히 알려졌다는 이유 등으로 가짜 페르소나웨어는 「그것 이외의 무언가 with “니세 하루나”」로 이름이 바뀌었다. 이런 형태의 대명사적인 이름으로 바뀌게 된 이유는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으나, 이름이 바뀌기 며칠 전 2채널의 스레드에 「저건 더이상 가짜 페르소나웨어가 아니다, 그것 이외의 무언가다」라는 글이 올라왔기 때문에, 혹은 그것으로부터 힌트를 얻지 않았나 하는 설이 당시 퍼졌다.
그것 이외의 무언가의 공개 정지, 호환 소프트웨어와 후속 소프트웨어의 공개
소프트웨어의 명칭과 니세 하루나의 동질성을 문제로 삼은 페르소나웨어 측은 2001년 1월 25일에 츠바사 시스템과 프라에센스(츠바사 시스템 휘하의 벤처기업으로 2000년 9월 설립) 양사 사장의 이름으로 쿠로이 사바토에게 「그것 이외의 무언가」의 공개 정지와 「페르소나웨어」,「하루나」,「haruna」등의 명칭의 사용 정지를 요구했다. 이로 인해 「그것 이외의 무언가」사용자들로부터 비난의 목소리가 일어났다.
1월 26일에 명칭의 사용 정지를 승낙하는 형태로 「그것 이외의 무언가 with “임의”」로 이름을 바꾸고(캐릭터 이름이 「임의(任意)」로 설정되어있는 형태로, 처음 실행할 때 사용자가 캐릭터의 이름을 마음대로 입력할 수 있도록 되었다. 하지만 캐릭터 디자인은 변하지 않았다), 1월 31일에는 '페르소나웨어 측의 주장에 납득한 것은 아니나 불필요한 마찰을 피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로 공개를 중단했다. 이것을 가지고 일부 「그것 이외의 무언가」사용자들과 이전 페르소나웨어 사용자들은 2월 16일에 서명과 함께 공개 질문서를 프라에센스로 보냈다. 2월 20일에는 쿠로이 사바토가 웹사이트를 폐쇄(이후, 쿠로이 사바토는 소식 불명이 된다)한 일도 겹쳐, 페르소나웨어 측과 「그것 이외의 무언가」사용자 측의 긴장 관계는 극에 달했다.
사태가 진정된 계기는 웹사이트가 폐쇄된 다음날인 2월 21일, Doichan!이 「그것 이외의 무언가」의 호환 소프트웨어 SAKURA Script Player (현 : SSP)를 공개하면서이다. 거기에 2월 23일에는 「그것 이외의 무언가」후속 소프트웨어(설계 구조를 계승했기 때문에 완전히 다른 프로그램이 되지는 않았다)이 개발되고 있음이 밝혀지고, 3월 18일에는 개발자를 대상으로 후속 소프트웨어가 「무언가 (가칭)」(제작자 : 시즈마 에이쿠, 閑馬永空)이라는 이름으로 공개되었다. 「무언가 (가칭)」에 대한 페르소나웨어 측으로부터 경고의 움직임은 없었다. 애당초 「무언가 (가칭)」에는 Ghost가 포함되어 있지 않았다.
우카가카로의 개칭, 시나치쿠
그 후로부터는 순조롭게 버전 업이 진행되었고, 이름도 2001년 8월 5일부터 「나니카」(무언가), 2002년 4월 14일부터는 지금의 「우카가카」로 이름이 바뀌고, 그와 함께 제작자가 「ls」(구 : 카와가미 아라야, 川上新夜)로 인계되었다. 그 무렵, 「스카(すか)」의 디자인으로 만들어진 새로운 고스트(「사쿠라」-라고 불린다-와 「우뉴」)가 포함되었다.
2002년 6월 22일에 공개된 period 583을 마지막으로 버전 업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이로 인한 영향은 서서히 나타나, 몇 년 후에는 우카가카계 전반이 가라앉게 된다). 제작자인 ls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이 플랫폼이 되었기 때문」이라는 이유로 개발을 종료하였고, 어플리케이션으로서의 「우카가카」는 「시나치쿠」라는 형태로 바뀌어 개발이 계속되고 있었으나, 이쪽도 업데이트가 정지된 상태이다.

현재는 업데이트가 정지된 시나치쿠. 보통 우카가카(나니카)를 쓰고 있던 사람들에게는 사용법이 꽤 난해하다. 우카가카와는 다르게 고스트의 개념이 없고(즉 유저가 만든 AI파일 등이 존재하지 않음), 대사 데이터를 인터넷의 마스터 서버에서 받아오는(이 대사들은 유저들이 직접 만들어 올리는 것으로, 인기 랭킹 등도 있음) 형태이다.
호칭의 변천사
중국어권에서는 일괄적으로 「가짜 하루나(偽春菜)」라는 호칭이 사용되고 있다.
임의계
2000년 5월 25일 - 12월 25일 : 가짜 페르소나웨어 with "가짜 하루나“ - 偽ペルソナウェア with "偽春菜"
2000년 12월 26일 - 12월 27일 : 페르소나웨어 이외의 무언가 with "가짜 하루나“ - ルソナウェア以外の何か with "偽春菜"
2000년 12월 28일 - 2001년 1월 25일 : 그것 이외의 무언가 with “가짜 하루나” - あれ以外の何か with "偽春菜"
2001년 1월 26일 - 그것 이외의 무언가 with "임의“ - あれ以外の何か with "任意"
우카가카계
2001년 2월 2일 - 8월 4일 : 무언가 (가칭) - 何か。(仮)
2001년 8월 5일 - 2002년 4월 13일 : 나니카(무언가) - 何か
2001년 4월 14일 - : 우카가카 - 伺か
역자의 부속설명 1 : 우카가카의 개발자
맨 처음 가짜 페르소나웨어 with “가짜 하루나”를 만든 제작자인 쿠로이 사바토(黒衣鯖人), 나니카를 만든 시즈마 에이쿠(閑馬永空), 나니카를 인계받고 우카가카를 만든 카와가미 아라야(川上新夜), 현재 우카가카의 제작자로 되어있는 ls는 모두 동일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카가카의 역사적으로 큰 변화가 있을 무렵에 새로운 이름을 댄 사람이 나타나 개발을 주도했다는 점에서 추측할 수 있습니다. 또한 후에 ls씨가 동일인임을 밝혔습니다.)
그(혹은 그녀)의 가명인 쿠로이 사바토, 시즈마 에이쿠, 카와가미 아라야는 만화책 ‘무한의 주인’의 등장인물들의 이름입니다. ls는 유닉스/리눅스에서 파일 목록을 출력하는 명령어인 ‘ls’에서 유래되었다고 추측됩니다.
역자의 부속설명 2 : 우카가카(伺か)의 뜻
(타 4) ① 「듣다․방문하다」의 겸양어. 「お話(ハナシ)を―: 말씀을 듣다」 「午後(コゴ)―․います: 오후에 뵙겠습니다」 ②신불(神佛)에 기원하여 계시를 구하다. 【가능】うかが․える(지하1)
우카가카(伺か)의 동사형의 사전적 의미입니다. ‘듣다’의 겸양어인데, 일본어로도 말이 안되고 한국어로도 말이 안되는 단어입니다. 나니카의 한자(何)와 우카가카의 한자(伺)가 비슷한 것을 이용한 언어유희라는 설이 유력합니다.
역자의 부속설명 3 : 시나치쿠
시나치쿠-支那竹(シナチク)는 흔히 멘마-メンマ(麺麻)라고 불리는 식품. 마죽(麻竹)의 죽순을 데쳐서 발효시킨 후, 건조/염장한 유산 발효한 중국의 발효 식품입니다. 일본에서는 주로 라면의 토핑으로 많이 쓰입니다. 시나치쿠의 시나라는 명칭은 중국을 비하하는 뜻이 있다고 하여 일본에서는 방송 금지 용어이기도 합니다.
프로그램 자체의 설명은 위의 시나치쿠 스크린샷의 캡션을 참고.
여담으로 시나치쿠 레퍼런스 페이지에 캐릭터 소개글이 있는데, 도저히 정상으로는 생각되지 않는군요.;